반응형

1. 정보통신 시스템의 구성

1-1 데이터 전송계

단말 장치(DTE) 데의터의 입출력및 송수신 담당

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(DCE) 단말 장치와 통신회선 연결(신호 변환)

통신 제어장치 (CCU) 데이터 전송회선과 컴퓨터 사이 연결하여 제어

FEP 전처리 장치

 

1-2 데이터 처리계는 그냥 컴퓨터를 의미함

 

2. 정보 통신의 처리방식

일괄처리, 실시간 처리, 시분할 처리, 분산처리 

2. 전송선로

2-1 유선 선로

나선,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, 동축케이블, 광섬유 케이블

이중 광섬유 케이블은 규소로 만들고 전반사를 이용하며, 코어와 클래딩으로 구성됨

2-2 무선 선로

지상 마이크로파, 위성 마이크로파, 무선 주파수 등이 있음. 

 

3.정보 전송 방식

3-1. 전송 속도 

BPS: 1초당 전송되는 비트의 수

Baud: 1초당 최단 펄스의 수이자, 신호 변화의 개수

3-2 정보 신호 변환 방식

변조: 신호를 특정 주파수와 대역폭으로 변화하는 과정

PCM이라는 것이 있고, 이 과정이 표본화->양자화-> 부호화-> 복호화만 기억하기

3-3 전송 에러 제어방식

패리티 검사- 패리티 비트로 에러검출

ARQ(자동 재전송 방식)- 에러 검출 후 송신측에게 다시 요청

 

4. 설비

4-1 단말장치 사이의 접속규격: EIA-RS 232C 와 ITU-T V.24가 있음

 

4-2 다중화기 : 여러개의 입력을 받아 여러개의 출력을 하는 장비(신호를)

FDM (주파수 분할 다중화기) - 높은 주파수 대역폭을 각기 다른 주파수로 변조

TDM(시분할 다중화기) - 여러 회선의 음성 정보를 작은 시간으로 나눔. 

그 외 역 다중화기, 파장 분할 다중화기 도있음. 

 

4-3 집중화기- 여러개의 입력회선(저속)들이 적은 출력회선을 동적으로 사용

4-4 CDMA (코드 분할 다중 접속) - FDM과 TDM을 반쯤 섞은거

 

5. OSI 참조 모델 - 개방형 시스템 간의 상호 접속을 위한 참조 모델

기본요소: 개방형 시스템, 응용개체, 접속, 물리매체

7계층: 1층-물리, 데이터링크, 네트워크 (하위)|(상위) 전송, 세션, 표현, 응용-7층

 

6. 정보 통신망

6-1 정보통신망 구성 형태: 스타, 트리, 링(루프), 버스, 망

6-2 정보통신망 종류: LAN(근거리),MAN(대도시),WAN(광역),VAN(부가가치),

ISDN(종합 정보통신),ADSL(비대칭 가입자 회선)

7. 정보 교환망

7-1 회선 교환망 : 회선을 설정해 데이터 교환

7-2 패킷 교환망: 패킷이라는 길이로 구분해서 보내는 방식

7-4 메시지 교환망- 중앙에서 축적 후 처리. 

 

8. 멀티미디어(다중매체)

통합성, 디지털화, 쌍방향성, 비선형성

정지영상데이터, 동영상데이터, 사운드 등이 있음. 

반응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