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1. ?의 의미(물음표)

플러터의 변수는 기본적으로 Non-Nullable로 선언된다. (널값으로 둘 수 없다)

그리고 Nullable변수로 만들기 위해서 선언할때 자료형 뒤에 ?를 붙이면 널 값으로 둘 수 있다. 

 

NULL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블로그가 훨씬 자세하게 잘 설명되어있으니 보면 될 듯하다. 

https://kkangsnote.tistory.com/98

 

Flutter 2.0 -Null Safety

flutter 강의를 하는 강사 입니다. 수업시간에 나왔던 질문 혹은 수업을 위해 정리했던 내용을 담았습니다. 조금더 자세한 내용은 수업시간에 다루어 집니다. Null Safety 란 개발되는 코드가 Null 안

kkangsnote.tistory.com

 

2. !의 의미

?와 같이 많이 사용되는데, ?를 이용하여 Null값이 허용되어있는 값을, 허용되지 않는 값에 넣을려고 하면, 당연히 에러가 발생한다. 그러나 우리는 그런 행위를 할 필요성이 있고, 이때 Null값이 허용되지않는 값 뒤에 !를 붙이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. (하지만 NULL이 들어가있을경우는 역시 에러를 초래한다) 

자세한 내용은 

https://debaeloper.tistory.com/m/59

 

Null safety in Dart/Flutter

오늘 포스팅 할 내용을 Flutter 를 사용하면서 알게된 Dart언어의 Null safety 문법에 대해서 알아본다. Index Null 이란? Null safety 란? Question mark 사용방법 Exclamation mark 사용방법 Null 이란? Null 은..

debaeloper.tistory.com

3. <>의 의미

<>는 generic의 type을 지정하는 경우로 일반적으로 List라는 class는 parameter로 아무거나 받을 수 있지만,

List <int> 의 경우 int type만 받을 수있다. 

다음과 같은 예시가 있다.

List<int> fixedLengthList = new List(5);

 

4. _(underbar, underscore)의 의미

 

underscore는 크게 두가지로 사용되는데,

1. 함수내에 무슨 값을 받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자리에 _가 들어있다면, 이 값은 받아봤자 안쓴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underscore이다.

 

2. parameter 앞에 _가 배치되어있다면 ex) _focuseday 

자바에서의 private을 의미한다. 

 

_ 혼자 사용된 경우는 1번 case일 것이고, _뒤에 어떤 변수이름이 들어간 경우 2번 case일 것이다. 

 

5. .. (double dot)의 의미

주로 list같은 류에 add등으로 많이 쓰이는데 list.add(1) 대신 list선언문 뒤에 ..add(1)으로 대신 사용할 수 있다.

이때 double dot, 점 두개가 사용된다. 

 

반응형

'Flutt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Flutter Bottom Navigation Bar 총정리  (0) 2022.01.28
table_calender basics에 관한 이해  (0) 2022.01.26
Flutter material app, Navigator snack bar 안나옴.  (0) 2021.09.08
flutter expanded 사용법  (0) 2021.09.07
flutter alligment 사용법  (0) 2021.09.05

+ Recent posts